[충남협회논단] 서영태 (사)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협회장
충남지역에 낙후된 동네가 많아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천안 북면 등 5개 마을은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40%에 육박, 주민건강을 위협하는 슬레이트 지붕 주택비율이 최대 89.6%에 달하는 등 기초생활 여건이 매우 취약한 지역으로 꼽힌다.
특히 서천군 장항읍 성주1리는 6·25전쟁 당시 혈액병원과 난민수용소가 입지했던 곳으로 최근까지 판자촌을 형성, 노후 주택과 급경사지가 함께 있는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으로 지정·고시돼 있다.
이처럼 낙후된 동네는 지역 내 초등교육 기반의 붕괴로 교육 환경이 나빠지면서 자녀 교육을 위해 지역을 떠나는 현상이 뚜렷하다. 또한 지방소멸과 교육소멸이 상승 작용을 하면서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전국적으로도 228개 지자체 중 3분의 1 이상은 30년 후 없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작년 7월 기준으로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인 지자체는 85곳에 이른다. 소멸위험지수는 고령인구(65세 이상) 대비 20~39세 여성인구의 비중을 말한다.
이 지수가 1.5 이상이면 소멸 저위험, 1.0~1.5 미만이면 정상, 0.5~1.0 미만이면 소멸주의 단계다.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지역으로 보고, 특히 0.2 미만인 곳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한다.
이에 따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각 마을들의 활동이 주목받고 있다. 충남 5개 마을이 정부가 공모한 ‘새뜰마을’에 선정됐다. 선정된 마을은 앞으로 국비를 지원받아 마을 개선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는데 천안시 북면·금산군 금산읍·서천군 장항읍 2곳·예산군 신양면이 ‘2019년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새뜰마을 사업은 상하수도와 소방도로 등 기초생활 인프라가 부족하고 상습침수 등 자연재해 우려가 있는 지역 정주여건 개선을 목적으로 시행된다.
이 마을들처럼 앞으로 낙후된 마을을 살리기 위해서 ‘마을 공동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 개념은 90년대 지방자치의 시작으로 주민들과 지역의 리더를 맡고 있는 사람, 시민활동가들이 지역공동체의 회복을 도모하고 활성화를 위한 자발적인 노력을 전개하면서 생겨났다.
마을 공동체란 주민들이 모여 자신들이 속해있는 '마을'의 관한 일을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고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에도 양극화와 주민 간의 갈등, 지역 내 문제 즉 생활안전, 고령화-복지, 일자리 창출, 실업, 다문화 가정 등으로 인해 지역공동체의 중요성이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마을공동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자 마을 공동체에 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래서 정부와 주민들, 중간조직의 협력을 통해 지역마다 특색을 살린 사업을 만들고 추진하여 같이 잘 먹고 잘 살수 있는 마을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미 전국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충남지역의 낙후된 마을들에서도 마을공동체를 잘 만들기 위한 시도에 나서야 한다. 당국은 특히 마을지원활동가를 발굴하고 길러서 함께 잘 사는 마을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길 바란다.
|